날짜 | KODEX국고채 3년 | 달러환율 | S&P500(SPY) | |
1 | 2021.10.14 목 | 57,440원⬆️ | 1,187.30원⬇️ | 435.18달러⬆️ |
2 | 2021.10.13 수 | 57,435원⬇️ | 1,193.50원⬇️ | 433.62달러⬇️ |
3 | 2021.10.12 화 | 57,650원⬆️ | 1,199.60원⬆️ | 434.69달러⬆️ |
4 | 2021.10.08 금 | 57,605원⬆️ | 1,196.00원⬆️ | 438.66달러⬆️ |
5 | 2021.10.07 목 | 57,600원⬇️ | 1,191.50원⬆️ | 434.90달러⬆️ |
6 | 2021.10.06 수 | 57,615원⬇️ | 1,191.30원⬆️ | 433.10달러⬆️ |
7 | 2021.10.05 화 | 57,740원 | 1,186.90원 | 428.64달러 |
8 | 2021.10.01 금 | 57,675원 | 1,187.00원 | 429.16달러 |
9 | 2021.09.30 목 | 57,785원 | 1,184.50원 | 434.45달러 |
10 | 2021.09.29 수 | 57,775원 | 1,184.00원 | 433.72달러 |
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01/0012720490
미 연준, 11월 중순 또는 12월 중순 테이퍼링 시작 관측
9월 FOMC 의사록 공개…월 150억달러씩 축소해 내년 중순 완료 (뉴욕=연합뉴스) 강건택 특파원 =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(Fed·연준)는 11월 중순 또는 12월 중순에 자산매입 축소(테이퍼링)가
n.news.naver.com
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16/0001898899
美증시, 소비자물가 상승에도 대체로 강세…나스닥 0.73%↑ [인더머니]
[헤럴드경제=박세환 기자]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는 가운데서도 3분기 기업 실적을 주시하며 대체로 오름세를 나타냈다. 13일(현지시간) 뉴욕증권거래소(NYSE)
n.news.naver.com
✔️김프로코멘트💬
나스닥이오름 ;
어제 미국에서 9월 FOMC의사록이 나왔는데 테이퍼링에 대한 이야기가 예상했던 대로임.
경제지표 중 CPI(소비자 물가지수)가 나왔는데 전월 대비 상승 ; 인플레이션에 대해 안좋게 나온것.
10년물 금리는 하락 ; 미국의 대표적인 장기금리.
2년물 금리는 상승 ; 미국의 대표적인 단기금리
기준금리가 올라갈 수 있다고 생각되면 2년물 금리가 오름.
미국의 성장률이 둔화될 수 있다는 생각에 오히려 10년물 금리는 빠짐.
그렇다보니 나스닥 지수가 오름.
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18/0005059598
지난달 외국인 국내주식 2.5조 사들여…4개월만에 순매수 전환
[이데일리 김소연 기자]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을 2조5050억원 사들였다. 4개월 연속 이어지던 순매도세가 꺽였다. 채권은 지난 1월 이후 계속해서 순투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. 자
n.news.naver.com
✔️김프로코멘트💬
2021년 1월~9월까지 28조 4천억 순매도. 20년도 24조 3천억 순매도. 금융위기 때도 이러진 않았음.
1년 9개월동안 외국인 매도세를 개인들이 받아온 것.
but, 채권은 53조 6천억 순매수.
한국경제의 펀더멘탈에 대해 의심스러우면 채권을 팜 ; 한국신용도가 떨어지면 채권 가격이 떨어지기 때문에.
채권을 매수했다는 건 좋은 소식.
한국채권은 선진국 대우를 받음.
한국이 망할 거라고 생각하면 채권을 이렇게 크게 살 수 없음.
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11/0003972672
카뱅 두달새 주가 반토막···경쟁 인뱅도 '동병상련'
[서울경제] 상장 후 고공 행진을 하던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의 주가가 증시 조정에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기지개를 켜는 다른 인터넷은행의 기업가치에도 관심이 모아진다. 13일 카카오뱅
n.news.naver.com
✔️김프로코멘트💬
현재까지 성적표를 보면 플랫폼보다는 은행으로 보기 시작했다는 의미.가계대출을 줄이면 기존의 은행은 기업, 정부 대출, 자회사(보험, 증권) 등 포트폴리오가 다양한데 은행업만하는 카카오뱅크는 지주가 아닌 상황에서 대출을 줄이는 정부의 정책에 직격탄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음.정부의 가계대출을 줄이는 원인제공 중 하나가 카카오뱅크이기도 함.
카카오뱅크 현재 주가를 보며 두가지 교훈을 얻어야 함.
1. 모든사람이 사자 했을 때 냉정했어야함
2. 주변을 살 필 필요가 있음(규제산업) ; 은행인지 플랫폼인지 헷갈릴 때는 보수적일 필요가 있다.
댓글 영역